LFP 배터리란?
리튬이온 배터리의 일종으로,
리튬인산철(LiFePO4)을 사용하여 만든 배터리를 말합니다.
삼성 SDI·LG화학 등 현재 국내 배터리사의 주력 제품인 NCM/NCA 배터리와는 어떻게 다른가?
각 배터리의 주요 차이점을 간단하게 비교해 보자면
장점
- 가격이 약 20~30% 정도 저렴한 인산철을 사용해 경제적이다.
- 과열, 과충전 상황에도 폭발 가능성이 적어 화학적 안정성이 비교적 높다.
단점
- 무겁고 비교적 에너지밀도가 낮아 출력이 낮다 => 가능 주행거리가 짧다.
위와 같이 서로 장단점이 뚜렷합니다.
현재 LFP 배터리 분야는 중국이 앞서가고 있으며
그 대표 격 회사인 CATL의 세계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2022년 기준 약 40%에 달합니다.
(*중국 내수시장의 영향이 크긴 합니다. 중국시장을 제외하면 LG엔솔이 1위)
테슬라가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 CATL의 LFP 배터리가 탑재된 차량을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그 존재감이 부각되었으며
더 나아가 BMW, 리비안, 포드 등 유명 업체까지 고객사로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이에 삼성 SDI·LG에너지솔루션·SK온 'K-배터리 3사' 역시 경쟁력 확보를 위해
LFP 배터리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고 개발 및 투자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관련 국내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럼 오늘은 LFP 배터리와 관련된 국내 종목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전고체 배터리 편과 같이 삼성 SDI · LG엔솔 · SK온 · 에코프로 등
LFP/리튬이온/전고체 배터리 모두를 아우르는 회사들은 생략하고
비교적 LFP와 관련도가 높은 회사 위주로 추려보았습니다.
1. 엘앤에프(066970)
2차 전지 양극활물질과 관련된 소재를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하이니켈 양극재 관련 대표 주자 중 하나이죠.
최근 보급형 전기차 시장을 겨냥해 LFP 양극재 개발에도 뛰어들었다는 뉴스가 나오며 관련주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자세한 양산 일정은 나오지 않았지만 워낙 기술력이 뛰어난 회사이며 테슬라와 협력관계가 깊기에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매출 성장률이 어마어마한 회사입니다.
전망이 좋은 만큼 꽤나 무거운 시총임에도 불구하고 단기간 상승폭이 상당히 크네요..
지금 같은 성장률을 언제까지 지속해 줄 수 있는지가 관건이겠습니다.
2. 천보 (278280)
전자소재와 2차 전지 전해질 등의 개발,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총매출의 70%가량이 2차 전지 전해질 관련 소재이며,
특히 LFP 소재와 관련해 강점이 있는 회사입니다.
차후 LFP관련 단독 호재가 나온다면 가장 빠르게 움직여주지 않을까 싶네요.
재무구조도 매우 훌륭하며 적지만 배당도 지급해주고 있는 좋은 회사입니다.
하지만 최근 2차 전지 섹터 전반적인 큰 상승으로 23년 4월 기준 per75 pbr8입니다.
투자 시 어느 정도 조정을 기다리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3. 씨아이에스(222080)
리튬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제조 관련 장비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입니다.
삼성 SDI와 LG엔솔 등 국내 대형 배터리 기업의 LFP 배터리 시장 진출 소식에
씨아이에스가 LFP분야 시장점유율 1위인 중국의 CATL사에 전극제조장비를 공급 중인 사실이 부각되어
수혜 기대감에 관련주로 묶였습니다.
아직까지는 기대감일 뿐 LFP관련해서 국내 업체와 직접 수주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만,
꼭 LFP가 아니더라도 기본적으로 2차 전지 제조장비 판매 사업을 하고 있고
해외 수주계약이 꾸준하여 매출 성장이 괜찮은 회사입니다.
4. 탑머티리얼(360070)
2차 전지 소부장기업으로, 시스템 엔지니어링 사업과 전극소재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LFP 전지의 설계 및 제조가 가능한 회사입니다.
*상장한 지 얼마 안 된 회사이며 상장 전에는 모회사인 코윈테크가 LFP의 관련주로도 많이 언급되었습니다.
매출 성장률, 재무구조 좋습니다만
이 회사 역시 23년 4월 기준 per50 pbr6.5로 조금 비싼 느낌입니다.
5. 아모그린텍 (125210)
첨단소재, 기능성 부품 및 환경에너지 시스템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아모그린텍의 에너지 저장 장치(ESS) 사업 부문에서
중국향 매출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사실이 부각되어 이슈가 되었던 이력이 있습니다.
(당사의 AMO ESS 솔루션은 인산철 배터리를 적용하여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고온 및 가스에 의한 폭발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ESS란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하는 전력 사용의 효율 향상을 도모하는 시스템
테슬라, 리비안 등 든든한 해외 고객사를 두고 있으며
재무구조, 매출 성장률 모두 좋은 회사입니다.
다른 종목들에 비해 아직까지 급등락은 적은 편이네요.
6. EG(037370)
산회수 설비의 설계, 시공, 운전능력 모두를 겸비하고 있는 세계 유일 산화철 전문업체입니다.
EG는 산화철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로
이 산화철의 분말과 인산을 혼합하여 인산철이 만들어진다고 하네요.
필수소재로서 관련주로 묶인 모양입니다.
개인적 의견으로는
LFP 시장 성장으로 인한 매출 증대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재무상태도 썩 좋지 않은 편이며 회사 가치에 비해 이미 많이 오른 느낌이네요.
가치투자의 목적보다는 테마주 개념으로 접근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번외로 한 달 만에 무려 다섯 배 이상이 오른
자이글(234920)은
LFP 관련 연구와 제조 경험이 있는 CM파트너의 2차 전지 사업부문을 인수하였고
리튬인산철 배터리 원천 기술 확보를 통해 기가급 공장을 신설하여 국내외 시장에 진출을 예고했습니다.
위와 같은 타이틀을 붙이며 LFP 관련주로도 묶였지만
개인적으론 전형적인 작전주로밖에 보이지 않기에 추천드리고 싶지는 않네요.
기존 적자의 늪에 빠져있던 가전기기 회사에서
공격적 투자로 신사업 진출을 하며 턴어라운드를 노리는 케이스입니다.
물론 결과가 좋을 수도 있겠지만
기대감만으로 상승한 가격이 이미 결괏값까지 다 반영한 느낌입니다
이런 거 잘못 물리면 최소 몇 년은 고생하십니다..
올바른 투자판단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다른 배터리 관련 종목도 알아보기 ↓
2023.04.07 - [주식/테마주 : 관련주] - 폐배터리 관련주 국내주식 5종목 분석
폐배터리 관련주 국내주식 5종목 분석
폐배터리란 말 그대로 성능이 떨어져 수명을 다한 배터리를 말합니다.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거나 자동차를 폐차하는 경우 폐배터리가 발생하게 되는데, 2차 전지 및 전기차 시장이 나날이 성장
simplestock.tistory.com
'주식 > 테마주 : 관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XR 관련주 : 메타버스 국내주식 7종목 알아보기 (0) | 2023.04.11 |
---|---|
마이크로바이옴 관련주 6종목 분석 고바이오랩 지놈앤컴퍼니 CJ바이오사이언스 등 (2) | 2023.04.10 |
폐배터리 관련주 국내주식 5종목 분석 (0) | 2023.04.07 |
원전 관련주 TOP7 종목별 연관성 알아보기 (0) | 2023.04.06 |
금 관련주 대표적 3종목 알아보기 엘컴텍 고려아연 아이티센 (3) | 2023.04.05 |
댓글